FIBA 아시아컵 남자농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역대 명단 (1960-2025)
대한민국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아시아컵에 1960년부터 참가하여 1969년 방콕
대회와 1997년 리야드 대회에서 우승을 거두었습니다. 2017년부터 호주의 참가로 우승
경쟁이 더욱 어려워졌지만, 아시아 농구 국대 간의 기량을 확인할 수 있는
대회입니다.
FIBA 아시아컵 국제대회 공식 명칭
- 2003년까지 ABC 대회 (아시아농구연맹 선수권 대회)
- 2005년부터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FIBA Asia Championship)
- 2017년부터 FIBA 아시아 컵 (FIBA Asia Cup)
FIBA 아시아컵 남자농구 1991년부터 역대 우승국
![]() |
FIBA 아시아컵 남자농구 1991년부터 2025년까지 역대 우승국 (출처: fiba.basketball 뉴스) |
- 1960 마닐라 ABC 대회 4위 (3승 6패)
- 1963 타이베이 ABC 대회 3위 (7승 3패)
- 1965 쿠알라룸푸르 ABC 대회 3위 (6승 3패)
- 1967 서울 ABC 대회 준우승 (8승 1패)
- 1969 방콕 ABC 대회 우승 (8승 0패) [MVP 신동파]
- 1971 도쿄 ABC 대회 3위 (6승 2패)
- 1973 마닐라 ABC 대회 준우승 (9승 1패)
- 1975 방콕 ABC 대회 3위 (6승 2패)
- 1977 쿠알라룸푸르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 1979 나고야 ABC 대회 3위 (6승 1패)
- 1981 콜카타 ABC 대회 준우승 (6승 1패)
- 1983 홍콩 ABC 대회 3위 (5승 2패)
- 1985 쿠알라룸푸르 ABC 대회 준우승 (5승 1패)
- 1987 방콕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MVP 이충희]
- 1989 베이징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 1991 고베 ABC 대회 준우승 (8승 1패)
- 1993 자카르타 ABC 대회 3위 (5승 1패)
- 1995 서울 ABC 대회 준우승 (6승 2패) [MVP 허재]
- 1997 리야드 ABC 대회 우승 (7승 1패) [MVP 전희철]
- 1999 후쿠오카 ABC 대회 준우승 (6승 2패)
- 2001 상하이 ABC 대회 3위 (7승 1패)
- 2003 하얼빈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 2005 도하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4위 (5승 3패)
- 2007 도쿠시마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3위 (6승 2패)
- 2009 톈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7위 (6승 3패) [FIBA 아시아컵 첫 4강 진출 실패]
- 2011 우한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3위 (7승 2패)
- 2013 마닐라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3위 (7승 2패)
- 2015 창사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6위 (5승 4패)
- 2017 베이루트 FIBA 아시아컵 3위 (5승 2패)
- 2022 자카르타 FIBA 아시아컵 6위 (3승 1패)
- 2025 제다 FIBA 아시아 컵 6위 (3승 2패)
FIBA 남자농구 아시아컵 우승 2회, 준우승 11회, 3위 12회
FIBA 아시아컵의 상세한 대회 기록 및 박스 스코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FIBA 아시아컵 남자농구 역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국대)
1960 마닐라 ABC 대회 4위 (3승 6패)
1960 마닐라 ABC 대회 베스트 5:
김영기(대한민국), 후앙쿤킁(타이완), 알폰소 마르케스(필리핀), 카를로스
바디온(필리핀), 카를로스 로이사가(필리핀)
- 강태하
- 강현성
- 김동하
- 김영기 [대회 베스트 5, 전 KBL 총재, 김상식 감독의 아버지]
- 김진호
- 백남정
- 백영기
- 안영식
- 이종환
- 임영보
- 장기춘
- 천상희
1963 타이베이 ABC 대회 3위 (7승 3패)
- 방열 (182cm, 연세대)
- 신동파 (190cm, 연세대)
- 김인건 (192cm, 연세대)
- 김영일 (연세대)
- 하의건 (연세대)
- 김영기 (178cm, 농협)
- 김무현 (공군)
- 정진봉 (해병대)
- 문현장 (한국은)
- 이인표 (산업은)
- 이규창 (기업은)
- 이경우 (기업은)
1965 쿠알라룸푸르 ABC 대회 3위 (6승 3패)
- 신동파 (190cm, 연세대)
- 서충원 (연세대)
- 김인건 (192cm, 연세대)
- 김영기 (178cm, 기업은)
- 김무현 (고려대)
- 문현장 (한국은)
- 김영훈 (한국은)
- 김종선 (산업은)
- 김영일 (공군)
- 정진봉 (해병대)
- 이인표 (해병대)
- 김영기 (해병대)
1967 서울 ABC 대회 준우승 (8승 1패)
- 김무현 (기업은)
- 신현수 (고려대)
- 박한 (192cm, 고려대)
- 김철갑 (한국은)
- 김영일 (한국은)
- 이인표 (산업은)
- 곽현채 (연세대)
- 신동파 (190cm, 육군)
- 하의건 (육군)
- 이병국 (육군)
- 최종규 (해병대)
- 김인건 (192cm, 해병대)
1969 방콕 ABC 대회 우승 (8승 0패) [MVP 신동파]
- 김인건 (192cm, 해병대)
- 유희형 (184cm, 전매청)
- 신현수 (산업은)
- 조승연 (178cm, 기업은)
- 신동파 (190cm, 육군) [MVP]
- 이인표 (산업은)
- 곽현채 (연세대)
- 최종규 (해병대)
- 서상철 (고려대)
- 김영일 (한국은)
- 박한 (192cm, 산업은)
- 이자영 (경희대)
1971 도쿄 ABC 대회 3위 (6승 2패)
- 김인건 (192cm, 한국은)
- 유희형 (전매청)
- 신현수 (산업은)
- 최경덕 (연세대)
- 신동파 (190cm, 기업은)
- 이인표 (산업은)
- 곽현채 (육군)
- 최종규 (해병대)
- 강호석 (한양대)
- 이자영 (한국은)
- 박한 (192cm, 산업은)
- 차성환 (기업은)
1973 마닐라 ABC 대회 준우승 (9승 1패)
- 김동광(184cm, 고려대)
- 유희형 (전매청)
- 최경덕 (육군)
- 신동파 (190cm, 기업은)
- 최종규 (한국은)
- 곽현채 (기업은)
- 강호석 (해병대)
- 이보선 (연세대)
- 박형철 (고려대)
- 이자영 (한국은)
- 박한 (192cm, 산업은)
- 이광준 (산업은)
1975 방콕 ABC 대회 3위 (6승 2패)
- 김동광 (기업은)
- 유희형 (전매청)
- 곽현채 (기업은)
- 김팽년 (고려대)
- 강호석 (기업은)
- 박형철 (해군)
- 황재환 (한국은)
- 이보선 (육군)
- 신선우 (188cm, 연세대)
- 이자영 (한국은)
- 이광준 (산업은)
- 김인진 (산업은)
1977 쿠알라룸푸르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 김동광 (기업은)
- 유희형 (전매청)
- 박수교 (연세대)
- 김팽년 (고려대)
- 강호석 (기업은)
- 박형철 (산업은)
- 박인규 (연세대)
- 진효준 (고려대)
- 박상웅 (해군)
- 이광준 (산업은)
- 정영수 (한국은)
- 김인진 (산업은)
1979 나고야 ABC 대회 3위 (6승 1패)
- 김동광 (184cm, 기업은)
- 박수교 (184cm, 현대)
- 박인규 (삼성)
- 이민현 (고려대)
- 이충희 (182cm, 현대)
- 진효준 (삼성)
- 황유하 (현대)
- 박상웅 (기업은)
- 이영근 (한양대)
- 임정명 (188cm, 고려대)
- 신선우 (188cm, 현대)
- 조동우 (연세대)
1981 콜카타 ABC 대회 준우승 (6승 1패)
- 김동광 (184cm, 기업은)
- 이민현 (고려대)
- 김현준 (183cm, 연세대)
- 이충희 (182cm, 현대)
- 임정명 (188cm, 삼성)
- 오동근 (한국은)
- 이영근 (삼성)
- 장봉학 (삼성)
- 조동우 (삼성)
- 박종천 (현대)
- 안종관 (기업은)
- 이장수 (현대)
1983 홍콩 ABC 대회 3위 (5승 2패)
- 박수교 (184cm, 현대)
- 신동찬 (삼성)
- 이문규 (190cm, 현대)
- 김현준 (183cm, 삼성)
- 이충희 (182cm, 현대)
- 임정명 (188cm, 삼성)
- 박인규 (삼성)
- 이민현 (기업은)
- 조명수 (현대)
- 박종천 (194cm, 현대)
- 김유택 (201cm, 중앙대)
- 한기범 (205cm, 중앙대)
1985 쿠알라룸푸르 ABC 대회 준우승 (5승 1패)
1985 쿠알라룸푸르 ABC 대회 베스트 5: 이충희(대한민국),
쑨펑우(중국), 아벨리노 림(필리핀), 알란 카이딕(필리핀), 장빈(중국)
- 허재 (188cm, 중앙대) [허웅 & 허훈 선수의 아버지]
- 김유택 (201cm, 중앙대) [최진수 & 김진영 선수의 아버지]
- 유재학 (180cm, 연세대)
- 한기범 (205cm, 기아)
- 김현준 (183cm, 삼성)
- 박인규 (삼성)
- 오세웅 (삼성)
- 조동우 (삼성)
- 이충희 (182cm, 현대) [대회 베스트 5]
- 이문규 (190cm, 현대)
- 이장수 (현대)
- 김성욱 (193cm, 국민대)
1987 방콕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MVP 이충희]
1987 방콕 ABC 대회 베스트 5: 허재(대한민국), 이충희(대한민국),
쑨펑우(중국), 알빈 파트로모니오(필리핀), 장빈(중국)
- 허재 (중앙대) [대회 베스트 5]
- 이충희 (현대) [대회 베스트 5]
- 김현준 (삼성)
- 유재학 (기아)
- 윤병식 (산업은)
- 이원우 (현대)
- 이문규 (현대)
- 오세웅 (삼성)
- 김유택 (기아)
- 한기범 (기아)
- 김윤호 (삼성)
- 이장수 (현대)
1989 베이징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 허재 (기아)
- 김현준 (삼성)
- 강동희 (중앙대) [강성욱 & 강민수 선수의 아버지]
- 이원우 (현대)
- 김진 (삼성)
- 이충희 (현대)
- 김영철 (삼성)
- 이민형 (기업은)
- 김유택 (기아)
- 한기범 (기아)
- 최병식 (현대)
- 김윤호 (삼성)
1991 고베시 ABC 대회 준우승 (8승 1패)
- 허재 (기아)
- 김현준 (삼성)
- 강동희 (기아)
- 이영주 (현대)
- 강정수 (기아)
- 문경은 (연세대)
- 정재근 (상무) [정호영 선수의 아버지]
- 손영기 (삼성)
- 김유택 (기아)
- 최병식 (상무)
- 표필상 (중앙대)
- 이호근 (현대) [이동엽 선수의 아버지]
1993 자카르타 ABC 대회 3위 (5승 1패)
- 강동희 (기아)
- 오성식 (상무)
- 이상민 (연세대)
- 김상식 (상무)
- 김지홍 (현대)
- 문경은 (연세대)
- 정재근 (상무)
- 김영만 (중앙대)
- 김유택 (기아)
- 서장훈 (연세대)
- 한기범 (기아)
- 전희철 (고려대)
1995 서울 ABC 대회 준우승 (6승 2패) [MVP 허재]
- 허재 (기아)
- 강동희 (기아)
- 이상민 (상무)
- 오성식 (SBS)
- 문경은 (삼성)
- 현주엽 (고려대)
- 김영만 (기아)
- 정재근 (SBS)
- 우지원 (연세대)
- 전희철 (동양)
- 정경호 (현대)
- 조동기 (기아)
1997 리야드 ABC 대회 우승 (7승 1패) [MVP 전희철]
1997년 리야드 ABC(아시아농구연맹 선수권 대회)는 대표팀 주축 선수였던
서장훈(207cm) 선수의 중이염과 현주엽(195cm) 선수의 코뼈 부상으로 어려움을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전희철 선수(198cm)와 정재근 선수(192cm)가 골밑을
책임지며 예상을 뒤엎고 준결승에서 중국을 꺾고 결승에서 일본에게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강동희 (180cm, 기아) [베스트 플레이메이커]
- 이상민 (182cm, 현대)
- 김승기 (182cm, 삼성) [김진모 & 김동현 선수의 아버지]
- 김병철 (185cm, 동양)
- 문경은 (190cm, 삼성)
- 우지원 (191cm, 대우)
- 양희승 (195cm, LG)
- 양경민 (193cm, 상무)
- 정재근 (192cm, SBS)
- 전희철 (198cm, 동양) [MVP]
- 현주엽 (195cm, 고려대) [코뼈 부상으로 불참]
- 서장훈 (207cm, 연세대) [중이염으로 불참]
1999 후쿠오카 ABC 대회 준우승 (6승 2패)
- 강동희 (기아)
- 허재 (삼보)
- 이상민 (현대)
- 추승균 (현대)
- 조성원 (LG)
- 김영만 (기아)
- 현주엽 (SK)
- 조상현 (SK)
- 서장훈 (SK)
- 박재헌 (LG)
- 이은호 (대우)
- 정경호 (삼보)
2001 상하이 ABC 대회 3위 (7승 1패)
2001 상하이 ABC 대회 베스트 5: 서장훈(대한민국), 야오밍(중국),
왕즈즈(중국), 왈리드 엘도미아티(레바논), 파디 엘 카티브(레바논)
- 주희정 (삼성)
- 김병철 (동양)
- 황성인 (상무)
- 조성원 (LG)
- 양경민 (TG)
- 추승균 (현대)
- 이규섭 (삼성)
- 김동우 (연세대)
- 조상현 (SK)
- 서장훈 (SK) [대회 베스트 5]
- 김주성 (중앙대)
- 김태완 (한양대)
2003 하얼빈 ABC 대회 준우승 (7승 1패)
- 이상민 (KCC)
- 김승현 (동양)
- 김병철 (동양)
- 조우현 (LG)
- 문경은 (빅스)
- 이규섭 (상무)
- 방성윤 (연세대)
- 추승균 (KCC)
- 양희승 (SBS)
- 김주성 (TG)
- 이창수 (모비스) [이원석 선수의 아버지]
- 하승진 (삼일상고) [하은주 KBS 해설위원의 동생]
2005 도하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4위 (5승 3패)
- 이상민 (KCC)
- 김승현 (동양)
- 신기성 (KTF)
- 문경은 (전자랜드)
- 현주엽 (LG)
- 방성윤 (로어노크)
- 추승균 (KCC)
- 양희승 (SBS)
- 정훈 (상무)
- 김주성 (TG)
- 서장훈 (삼성)
- 하승진 (포틀랜드)
2007 도쿠시마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3위 (6승 2패)
- 김승현 (오리온스)
- 양동근 (상무)
- 신기성 (KTF)
- 강병현 (중앙대)
- 김동우 (모비스)
- 양희종 (KT&G)
- 윤호영 (중앙대)
- 김민수 (경희대) [국적 회복]
- 차재영 (고려대)
- 김주성 (동부)
- 하승진 (애너하임)
- 이동준 (오리온스) [이승준 선수의 동생]
2009 톈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7위 (6승 3패) [FIBA 아시아컵 첫 4강 진출 실패]
- 주희정 (SK)
- 양동근 (모비스)
- 이정석 (삼성)
- 강병현 (KCC)
- 양희종 (상무)
- 김민수 (SK)
- 방성윤 (SK)
- 이규섭 (삼성)
- 김주성 (동부)
- 오세근 (중앙대)
- 하승진 (KCC)
- 이동준 (오리온스)
2011 우한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3위 (7승 2패)
- 양동근 (모비스)
- 강병현 (상무)
- 박찬희 (KGC)
- 조성민 (KT)
- 이정석 (삼성)
- 문태종 (전자랜드) [문태영 선수의 형]
- 김영환 (KT)
- 양희종 (KGC)
- 오세근 (KGC)
- 김주성 (동부)
- 하승진 (KCC)
- 김종규 (경희대)
2013 마닐라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3위 (7승 2패)
2013 마닐라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베스트 5: 김민구(대한민국),
제이슨 윌리엄(필리핀), 린즈제(타이완), 오신 사하키안(이란), 하메드
하다디(이란)
- 김민구 (경희대) [대회 베스트 5]
- 김선형 (SK)
- 양동근 (모비스)
- 조성민 (KT)
- 김태술 (KGC)
- 최준용 (연세대)
- 문성곤 (고려대)
- 이종현 (고려대)
- 김종규 (경희대)
- 윤호영 (동부)
- 김주성 (동부)
- 이승준 (동부) [이동준 선수의 형]
2015 창사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6위 (5승 4패)
- 양동근 (181cm, 모비스)
- 조성민 (190cm, KT)
- 김태술 (180cm, KCC)
- 박찬희 (190cm, KGC)
- 이정현 (191cm, KGC)
- 문태영 (194cm, 삼성) [문태종 선수의 동생]
- 이승현 (197cm, 오리온)
- 최준용 (200cm, 연세대)
- 강상재 (200cm, 고려대)
- 문성곤 (196cm, 고려대)
- 이종현 (203cm, 고려대)
- 김종규 (207cm, LG)
2017 베이루트 FIBA 아시아컵 3위 (5승 2패)
2017 베이루트 FIBA 아시아컵 대회 베스트 5: 오세근(대한민국), 하메드
하다디(이란), 셰이 일리(뉴질랜드), 모함마드 잠시디(이란), 파디 엘
카티브(레바논)
- 박찬희 (전자랜드)
- 이정현 (KCC)
- 김선형 (SK)
- 최준용 (SK)
- 허웅 (상무)
- 임동섭 (상무)
- 전준범 (모비스)
- 양홍석 (중앙대)
- 오세근 (KGC) [대회 베스트 5]
- 김종규 (LG)
- 이승현(상무)
- 이종현 (모비스)
2022 자카르타 FIBA 아시아 컵 6위 (3승 1패)
- 허웅 (185cm, KCC)
- 허훈 (180cm, 상무)
- 송교창 (200cm, 상무)
- 이우석 (196cm, 현대모비스)
- 최준용 (200cm, SK)
- 양홍석 (196cm, KT)
- 강상재 (200cm DB)
- 김종규 (207cm, DB)
- 장재석 (204cm, 현대모비스)
- 이대성 (193cm, 가스공사)
- 이대헌 (196cm, 가스공사)
- 라건아 (199cm, KCC) [라틀리프, 미국 국적을 유지하는 특별 귀화]
2025 제다 FIBA 아시아컵 6위 (3승 2패)
- 정성우 (178cm, 1993년, 한국가스공사)
- 양준석 (180cm, 2001년, LG)
- 박지훈 (182cm, 1995년, 정관장)
- 이정현 (187cm, 1999년, 소노)
- 유기상 (188cm, 2001년, LG)
- 문정현 (194cm, 2001년, KT)
- 이우석 (196cm, 1999년, 상무)
- 이승현 (197cm, 1992년, 현대모비스)
- 이현중 (202cm, 2000년, 일본 나가사키 벨카)
- 여준석 (202cm, 2002년, NCAA 시애틀대)
- 하윤기 (204cm, 1999년, KT)
- 김종규 (207cm, 1991년, 정관장) [한국 남자농구 국대 최다 99경기 출전 기록 진행중]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