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역대 귀화 선수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역대 귀화 선수 중 이승준 선수는 2010 아시안게임 남자농구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문태종 선수는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또한, 라건아 선수는 2018 아시안게임 남자농구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대한민국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 역대 귀화 선수: 김민수, 이승준, 이동준, 문태종, 문태영, 라건아

south-korea-mens-list-of-naturalized-basketball-national-team-players
대한민국 남자농구 역대 국제대회 귀화 선수: 이승준, 문태중, 라건아 (출처: 나무위키)
  • 2006 도하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5위 (5승 3패): 김민수(200cm, PF/SF, 국적회복)
  • 2007 도쿠시마 FIBA 아시아 선수권 3위 (6승 2패): 김민수, 이동준
  • 2008 베이징 올림픽 예선 남자농구 (0승 2패): 김민수
  • 2009 톈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7위 (6승 3패): 이동준(200cm, PF/C)
아르헨티나 출신 김민수(200cm) 선수는 국적 회복으로 귀화 쿼터에 포함되지 않는 로컬 선수로 인정되어 2007 도쿠시마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이동준 선수와 함께 출전할 수 있었습니다.
  •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은메달 (6승 1패): 이승준(205cm, PF/C, 이동준의 형)
  • 2011 우한 FIBA 아시아 선수권 3위 (7승 2패): 문태종
  • 2012 런던올림픽 예선 남자농구 (0승 2패): 이승준
  • 2013 마닐라 FIBA 아시아 선수권 3위 (7승 2패): 이승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대표팀과 중국 대표팀이 맞붙었습니다. 대한민국은 귀화 선수 이승준 선수의 활약과 더불어 양동근 선수의 17점, 김주성 선수와 조성민 선수의 15점 활약에도 불구하고 실책이 16개에 달하여 71 대 77로 패배, 은메달을 획득했습니다.
  •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금메달 (7승 0패): 문태종(199cm, SF/PF, 문태영의 형)
  • 2014 FIBA 농구 월드컵 23위 (0승 5패): 문태종
  • 2015 창사 FIBA 아시아 선수권 6위 (5승 4패): 문태영(194cm, SF/PF)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국가대표팀은 오세근, 김종규, 이종현, 김주성 선수로 이어지는 뛰어난 국내 빅맨진과 슈터 문태종 선수의 활약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특히 전성기를 맞았던 오세근, 김종규, 이종현 선수로 구성된 20대 국내 빅맨진은 타 국가 대표팀의 빅맨진에 뒤지지 않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팀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 2018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동메달 (5승 1패): 라건아(199cm, PF/C)
  • 2019 FIBA 농구 월드컵 26위 (1승 4패): 라건아
  • 2022 자카르타 FIBA 아시아컵 6위 (3승 1패): 라건아
  • 2023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7위 (4승 3패): 라건아
  • 2025 제다 FIBA 아시아컵 예선 (4승 2패): 이근휘(188cm, SG/SF, 예선 윈도우 3만 참가)
2018년부터 KBL MVP 라건아 선수의 특별 귀화로 국내 농구계에 큰 기대를 모았으나, 국제적인 농구 흐름에 뒤처지는 대표팀의 경기 스타일과 전술, 조직력 부족 등으로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2025 FIBA 남자농구 아시아컵 결승전에서 호주와 중국의 경기는 후진추(210cm), 왕준제(206cm), 위자하오(221cm) 등 중국의 장신 선수들이 호주 골밑을 효과적으로 맞서며 1점차 결과의 접전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처럼 뛰어난 장신 빅맨은 농구 경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후진추(210cm)와 같은 국제대회에 경쟁력 있는 빅맨 선수를 육성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빠른 귀화 선수 영입이 필수적입니다.



FIBA 아시아컵 국제대회 공식 명칭

  • 2003년까지 ABC 대회 (아시아농구연맹 선수권 대회)
  • 2005년부터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FIBA Asia Championship)
  • 2017년부터 FIBA 아시아 컵 (FIBA Asia Cup)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역대 귀화 선수: 김한별, 진안

  • 2017 벵갈루루 FIBA 아시아컵 4위: 김한별(178cm, SF/PF)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여자농구 은메달: 김한별
  • 2018 테네리페 FIBA 월드컵 14위: 김한별
  • 2019 도쿄 올림픽 퀄리파잉 토너먼트: 김한별
  • 2019 벵갈루루 FIBA 아시아컵 4위: 진안(181cm, C/PF)
  • 2021 도쿄 올림픽 여자농구 10위: 진안
  • 2021 암만 FIBA 아시아컵 4위: 진안
  •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농구 동메달: 진안
  • 2022 시드니 FIBA 월드컵 10위: 진안
  • 2023 시드니 FIBA 여자 아시아 컵 5위: 진안
WNBA 출신 키아나 스미스 선수가 특별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 FIBA 남자농구 아시아컵 최종 6위 (3승 2패) 기록

2025 FIBA BCL 아시아 농구 챔피언스리그 중계 일정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여자 농구 금메달 기록

2025 KBL 자유계약선수(FA) 협상 결과

2024-25 NBA Awards & All-NBA Team

2025 FIBA 여자농구 아시아컵 최종 4위 (3승 3패) 기록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남자 농구 결승 금메달 기록

2025-2026 WKBL 아시아쿼터선수 드래프트 결과

2025 NBA 플레이오프 파이널 대진표 결과

2025-2026 WKBL 여자농구 선수 연봉 순위